본문 바로가기

토목16

토석류 대책시설 개요 및 계획 ㅣ 도로공사 출처: 국토교통부(2025),"도로 배수시설 설계 및 관리지침" 토석류 대책시설 개요 및 계획토석류로 인한 시설물의 피해를 방지 또는 저감시키기 위한 대책시설 설계에 적용한다.   토석류(debris flow)는 우수의 흐름에 의해 토사, 암석, 나뭇가지 등이 원지반으로부터 분리되어 이동하는 현상으로, 물보다 가벼운 부유물질과 물보다 무거운 이동물질, 또는 두가지 물질의 혼합물 형태로 이동하는 형태이다.토석류 차단시설은 토사, 암석, 나뭇가지 등 토석류에 의해 도로 배수관, 암거 등의 막힘으로 피해가 예상되거나 이미 피해가 발생한 지역에서 추가적으로 토석류 발생이 예측되는 도로 접도지역 내에 적용한다. 특히, 도로관리청은 토석류 차단시설을 도로 부지내에 필요한 지역에 설치하며, 도로부지외의 지역으로 설치.. 2025. 3. 24.
옹벽 배수 해설 출처: 국토교통부(2025),"도로 배수시설 설계 및 관리지침" 옹벽 배수 해설옹벽 배수는 지표면 배수와 뒤채움 배수로 구분하며, 지표면 배수는 식생공, 블록 등 의 불투수층을 마련하여 배수구로 집수 시킨다. 뒤채움 배수로는 간이배수공, 구형 배 수공, 연속 배면 배수공, 기타 배수공 등을 사용한다. 1) 개요 옹벽 설계에 있어서 배수공은 토압경감을 위한 중요한 시설이다. 즉, 물의 침투에 의해 배면토의 함수비가 증가하면 흙의 중량 증가와 전단강도 감소에 의해 토압이 증가하고 옹벽 형식에 따라서 변형이 일어나거나 경사 등의 변형이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부터 여러 방법의 배수공이 이용되고 있지만 최근에는 합성수지제품, 폐자재 활용 제품 등 투수성이 확보되는 배수공을 사용한다.옹벽 배수는 지표면 배수와 뒤채.. 2025. 3. 23.
터널 배수의 종류 및 시스템 해설 ㅣ 도로공사 출처: 국토교통부(2025),"도로 배수시설 설계 및 관리지침"  터널 배수의 종류 및 시스템 해설 1) 터널 배수의 종류터널 배수는 노면 배수, 배면배수, 저면배수로 구분된다.     구분내용노면 배수● 터널 내부로 부터 유입되는 노면수 및 터널 내 청소 또는 소화설비로 부터 발생되는 표면수를 처리하는 것으로 오·폐수 혼합, 분리 여부에 따라 배수구 또는 별도의 배수관으로 배수한다.배면 배수● 방수막 배면으로 유도되는 용출수 처리를 위한 것으로 터널 구조물 안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측벽 하단에 종방향 유공관을 설치하여 배면의 용출수를 유도하고, 배수구에 연결시켜 최종적으로 배수구를 통해 처리한다.저면 배수● 지하수 배수공은 터널 인버트부 지반으로부터 용출수를 대상으로 한 배수로서 터널 전장에 걸쳐.. 2025. 3. 22.
터널 배수 해설 ㅣ 도로공사 실무 출처: 국토교통부(2025),"도로 배수시설 설계 및 관리지침"  터널 배수 해설 1) 배수 형식터널의 배수는 유입되는 지하수의 배제 여부에 따라 배수형 터널과 비배수형 터널로 구분한다. 비배수형 터널은 하저 또는 해저터널과 같이 지하수 배제가 곤란한 경우 완전방수 처리하는 방법이며, 배수형 터널은 유입되는 지하수를 외부로 유도배수하는 방법으로 경제성이 우수하여 일반적인 터널 구축시 사용되는 방법이다. 배수형 터널은 배수방법에 따라 완전배수형, 부분배수형, 외부배수형 터널로 구분된다.배수형 터널은 터널로 유입되는 지하수를 배수하는 터널로서 배수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은 세가지 형식으로 구분하여 설계할 수 있다.구분내용도해완전 배수형● 터널내부의 전주면으로 배수를 허용하는 형식부분 배수형● 쾌적한 공간을 제.. 2025. 3. 21.
도로 구조물의 배수 해설 ㅣ 도로공사 출처: 국토교통부(2025),"도로 배수시설 설계 및 관리지침" 도로 구조물의 배수 해설 1) 구조물 배수 일반구조물 배수는 구조물의 시공중 혹은 시공후에 시행하는 배수로서, 교량․고가구조의 배수, 터널의 배수, 옹벽의 배수 등을 포함한다.구조물 시공중 또는 시공후에 강수, 지하수 등이 구조물의 배면에 머물거나 구조물 내로 침투되면 구조물의 안전성이 저하되고 구조물의 파손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또한, 노면에 우수가 정체되면 차량의 안전주행을 해칠 뿐만 아니라 물의 비산이 주위 환경을 해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는 여러 가지 피해를 일으키기 때문에물 처리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특수한 교량․고가구조에서 이 지침 적용이 어려운 경우 현장상황에 맞도록 합리적인 설계․시공을 한다. 2) 교량․고가구조의 배수.. 2025. 3. 19.
비탈면 배수시설의 설계 및 시공 해설 ㅣ 도로공사 출처: 국토교통부(2025),"도로 배수시설 설계 및 관리지침"  비탈면 배수시설의 설계 및 시공 해설 1) 일반배수시설의 단면설계는 토사 등의 퇴적을 고려하여 20% 여유를 둔다. 특히, 집중호우시에 다량의 토사가 유출될 우려가 있는 지역은 발주청과 협의하여 결정한다. 비탈면 배수시설의 손상은 주로 물이 배수구내로 흐르지 않고, 그 외측과 최하단측으로 흘러 주위의 흙이 세굴 됨으로써 발생한다. 급류가 발생하는 곳에서 물이 튀어나오지 않도록 뚜껑을 설치하거나 약간의 도수가 있더라도 배수구의 외측이 세굴 되지 않도록 잔디와 바위 등을 깔아 보호해 두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2) 비탈어깨 배수시설 및 산마루 배수구비탈어깨 배수시설로는 일반파기 배수구, 철근콘크리트 U형 배수구, 현장타설 콘크리 트 배수구 .. 2025. 3. 18.